니혼슈 뿐 만 아니라 일본에서 술을 찾을때 자주 보이는
'아마구치(甘口)'와 '카라구치(辛口)'!
이 아마구치와 카라구치는 술의 맛을 표현하는 단어에요!니혼슈는 곡물로 만들기 때문에 단 맛의 특성이 강한데요
이 곡물의 단맛을 살려 달콤한 맛이 나는 술을
'아마구치' 라고 표현해요!
'카라구치'는 아마구치의 정 반대의 의미 입니다!
Dry라는 영어 표현 때문에 대체 어떤 느낌인지 헷갈리실 수 도 있을 것 같아요.
달콤한 맛이 나지 않고, 깔끔한 맛이 나는 술을
'카라구치'라고 표현 한답니다!
"그럼 아마구치는 달콤한 술 이니까 안쓰고, 카라구치는 드라이하니까 쓴 맛이 나겠지?"
정답은 NO!
아마구치랑 카라구치는 성분으로 책정하고 그 기준으로 표현하고 있지만
단 맛 이라는 것은 개개인차가 크고 효모, 쌀 맛, 본인의 컨디션, 보관 상태, 온도, 제조방식 등
여러 조건이 복합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
마실때 다 다를 수 있고, 마시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요.
정해진 지표, 표현과 100%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!
꼭 알아주세요.
그럼 아마구치인지 카라구치인지 대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?
요렇게 라벨에 '카라구치'나 '아마구치'를 표기해주는 니혼슈도 있지만
표기해주지 않는 니혼슈도 엄청 많아요
'카라구치','아마구치' 표기가 없을 경우!
'카라구치','아마구치'라는 말 보다 더 자세히 맛을 유추해 볼 수 있는
"주도"와 "산도"라는 것에 대해 설명해드릴께요.
🍶 주도(酒度)란?
앞서 말한 아마구치와 카라구치를 결정하는 기준.
출처 : https://note.com/lacamyca/n/nb0d6524eb397
일본 주도계(비중계)를 물에 넣었을때,
마이너스로 갈 수록 단 맛이 강해지고
플러스로 갈수록 드라이한 맛이 강해진다
고 이해해주시면 됩니다
일본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‘표준 지표’에서는
술 안에 당분이 많을 수록 단맛 (마이너스), 당분이 적을 수록 드라이한 맛 (플러스)이 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어요!
주도도 어디까지나 당분량에 따른 밀도 지표 일 뿐!
주도를 참고 하시되, 개인차에 따라 다른 맛을 경험하실 수 있다는 점 꼭 알아두셔야해요!
👇자세한 일본 주도의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!👇
+10 이상 | 슈퍼 카라구치 (超辛口, 초카라구치) |
+5 ~ +10 | 카라구치 (辛口) |
+3 ~ +5 | 약간 카라구치 (やや辛口, 야야카라구치) |
0 ~ +3 | 중간 |
-3 ~ 0 | 약간 아마구치 (やや甘口, 야야아마구치) |
-10 ~ -3 | 아마구치 (甘口) |
-10 이하 | 슈퍼 아마구치 (超甘口, 초아마구치) |
이어서 산도에 대해서도 설명해볼께요
🍶산도(酸度)란?
단순히 신맛의 지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,
사케에 포함된 사과산이나 젖산 같은 유기산들의 총량을 말해요!
이 산도의 비율에 따라 술의 맛이 달라진답니다.
산도가 높을수록 묵직하고 진한 농후한 맛을 띄고
산도가 낮을수록 부드럽고 가벼운 연한 맛(담려)을 띈답니다.
👇자세한 산도의 기준도 표로 보여드릴께요!👇
2.8 이상 | 극도로 농후 (極濃醇, 고쿠노우쥰) |
2.3 ~ 2.7 | 슈퍼 농후 (超濃醇, 초노우준) |
1.9 ~ 2.2 | 농후 (濃醇, 노우쥰) |
1.6 ~ 1.8 | 약간 농후 (やや濃醇, 야야노우쥰) |
1.3 ~ 1.5 | 보통 |
1.2 ~ 0.9 | 담려 (淡麗, 탄레이) |
0.8 이하 | 슈퍼 담려 (超淡麗, 초탄레이) |
산도와 주도가 모두 높으면 농후 카라구치
산도가 낮고 주도가 높으면 담려 카라구치
산도와 주도가 모두 낮으면 담려 아마구치
산도가 높고 주도가 낮으면 농후 아마구치
단순히 이렇게만 보시면 어려우니까
각 타입별 대표 브랜드까지 알려드릴께요!
농후 카라구치의 대표적인 브랜드
미나미 주조장 (南酒造場)
담려 카라구치의 대표적인 브랜드
츠치야 주조점(土屋酒造店) , 아이하라 주조(相原酒造) , 아사히 주조(朝日酒造)
담려 아마구치의 대표적인 브랜드
모리 주조장(森酒造場) , 신도 주조점(新藤酒造) , 야마나시 명조(山梨銘醸)
농후 아마구치의 대표적인 브랜드
와타나베 주조점(渡辺酒造店) , 후지 주조 (富士酒造)
(주조점 명을 클릭하시면 사케무라의 해당 주조점 컬렉션으로 넘어갑니다!)
내용이 너무 길고 복잡해서 외우기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
쉬운 암기법 알려드릴께요
앞글자만 따서
주도는 술 '주'자를 써서 술 맛의 정도,
주도가 높을수록 우리가 흔히 아는 술 맛이 난다
낮으면 그 반대겠죠?
주도가 낮을 수록 단 맛이 난다
산도는 낮을 수록 '산'뜻한 맛이 난다
높으면 그 반대겠죠?
산도가 높을 수록 무게감이 느껴진다
사케를 빚을때 사용한 주조미와 효모의 종류마다도 사케의 맛이 달라져요!
일본의 사케용 쌀은 약 120여 종 이상의 품종이 존재하는데요
이 쌀을 어떤 걸 사용했느냐의 따라 더 단 맛이 날 수도, 덜 단 맛이 날 수도 있어요.
대표적인 주조미 중 에서는
아이야마(愛山)와 오마치(雄町) 카메노오(亀の尾)가 단 맛을 내기 쉬운 쌀,
고햐쿠만고쿠(五百万石) , 미야마니시키(美山錦)는 깔끔한 맛을 내기 쉬운 쌀 이에요!
일본 사케 양조에 쓰이는 효모 계통은 50종 이상이 존재하고 아직도 활발히 개발 중 이에요
특히 K-1801 효모, 협회 10호(協会10号)가 달콤한 인상을 주는 대표 효모랍니다.
그리고, 협회 7호(協会7号), M310 효모는 깨끗한 인상을 주는 대표 효모입니다.
댓글 (0)
이 글에 댓글이 없습니다. 첫 번째로 메시지를 남겨보세요!